CLion을 윈도우에서 사용하니 한글이 깨져서 출력되었다.
일단은 캐릭터 셋(character set)을 euc-kr 이나 CP949로 바꿔줘야겠다고 생각했다.
1. CMakeLists.txt 변경
CLion의 CMakeLists.txt 에
set(CMAKE_CXX_FLAGS "-fexec-charset=CP949")
를 추가했다.
하지만,,,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한글깨짐,,,
2. 윈도우 지역 옵션 변경
좀 더 구글링을 해보니 윈도우 지역에서 옵션 변경을 해주면 된다고 나와있었다.
제어판을 키고, [시계 및 국가]를 누른 후, [국가 또는 지역]을 누른다.
또는, [시계 및 국가] 바로 아래 [날짜,시간 또는 숫자 형식 변경]을 눌러도 된다.
다음으로, 팝업창에서 [관리자 옵션] 탭을 클릭 후, [시스템 로캘 변경]으로 들어간다.
시스템 로캘 변경으로 들어온 후, 아래 사진과 같이 Beta ... 의 체크박스에 체크해주면된다.
반신반의 하며 window 를 재시작하고 CLion 실행 결과,
한글이 안깨지고 잘 실행되었다.
'개발 관련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모음 (0) | 2020.02.14 |
---|---|
[AWS&Docker 다뤄보기] 1. AWS와 Docker (0) | 2020.01.24 |
[CleanCode] 10. 클래스 (0) | 2019.11.24 |
[CleanCode] 9. 단위 테스트 (0) | 2019.11.23 |
프로그래밍할 때 생각할 것 (0) | 2019.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