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35)
배열 1.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이란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은 C나 자바의 배열과 같은 기능을 하지만, 이들과는 다르게 굳이 크기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며, 어떤 위치에 어느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하더라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2. 배열 생성하기 배열 리터럴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새로운 배열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표기법이다. 객체 리터럴이 중괄호({})로 생성했다면, 배열은 대괄호([])를 사용한다. 다음과 같이 말이다. var newArray = ['java', 'c', 'python', 'ruby', 'go']; console.log(newArray[0]); // java 출력 console.log(newArray[2]); // python 출력 console.log(newArray[3]); // ruby 출력 ..
call by value와 call by reference 1. call by value 기본 타입의 경우, 값에 의한 호출, 즉 call by value 방식은 함수 호출 시 인자로 기본 타입의 값을 넘겨, 호출된 함수의 매개변수로 복사된 값이 전달된다. 복사된 값이 전달되기 때문에 함수 내부에서 매개변수를 이용해 값을 변경해도, 실제로 호출된 변수의 값이 변경되지는 않는다. 2. call by reference 앞서 말한 값에 의한 호출과는 달리, 객체와 같은 참조 타입의 경우, 참조에 의한 호출 방식으로 동작한다. 즉,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로 참조타입인 객체를 전달할 경우, 객체의 프로퍼티값이 함수의 매개변수로 복사되지 않는다. 전달되는 값은 인자로 넘긴 객체의 참조값이다. 때문에 함수 내부에서 참조값을 이용해서 인자로 넘긴 실제 객체의 값을 변경할 수 ..
자바스크립트 핵심 개념 1. 객체 자바스크립트의 거의 모든 것은 객체이다. 기본 데이터 타입인 boolean, number, string, 그리고 특별한 값인 null, undefined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객체이다. 하지만, boolean, number, string의 세 가지 기본 데이터 타입은 모두 객체처럼 다룰 수도 있다.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는 null과 undefined를 제외한 모든 것을 객체로 다룰 수 있다. 2. 함수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도 객체로 취급된다. 3. 프로토타입(Prototype) 모든 객체는 숨겨진 링크인 프로토타입을 가진다. 이 링크는 해당 객체를 생성한 생성자의 프로토타입 객체를 가리킨다. 4. 실행 컨텍스트와 클로저 자바스크립트는 독특한 과정으로 실행 컨텍스트를 만들고 그 안에서 실행이..
10. 튜토리얼 따라하기 - 설문조사(5) 정적(static) 파일 사용하기 정적 파일은 css나 js 같은 파일들을 의미한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선 static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파일을 저장한 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문에, polls 폴더 밑에 static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polls 폴더를 하나 더 만들고, style.css 파일을 추가한다. 잘 생성했다면, 다음과 같은 모양이 나올 것이다. 그리고, style.css에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li a { color: green; } 다음으로, polls/templates/polls/index.html의 태그 사이에 다음과 같이 코드를 추가하자. {% load static %} {% static %} 템플릿 태그는 정적 파일의 절대 URL을 생성한다. 이제, 웹사이트를 확인..
미디어 타입 HTTP는 웹에서 전송되는 객체 각각에 MIME 타입이라는 데이터 포맷 라벨을 붙여, 인터넷에서 다루는 수천가지 데이터 타입을 관리한다. 즉, 웹 서버는 모든 HTTP 객체 데이터에 MIME 타입을 붙인다. 이 때 MIME는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로 다목적 인터넷 메일 확장이라 불린다. MIME 타입은 사선(/)으로 구분되며, 주 타입/부 타입 으로 이루어진다. ex) text/html, image/jpeg
HTTP/웹서버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어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이라 하며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에서 통신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프로그램이다. HTT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해, 통신 전송 중 파괴되거나, 중복, 왜곡되는 것을 막아준다. 웹 서버는 HTTP 프로토콜로 의사소통 하기 때문에 보통 HTTP 서버라고 불린다. 이 웹 서버는 인터넷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HTTP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때문에 웹 서버는 웹 리소스를 관리하고 제공한다. 웹 리소스는 웹 콘텐츠의 원천이다. 즉,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된 데이터를 HTTP 응답으로 돌려준다.
vue.js webpack 설치 webstorm으로 vue를 사용할 일이 생겼다. npm install -g vue-cli vue init webpack my-project cd my-project npm install npm run dev 참고로 vue init webpack my-project를 입력하면 설정화면이 뜨는데, 나는 vue-router만 설치하고 다른 것들은 N을 했다. (잘 모르기 때문ㅎ) 설치가 다 잘 끝나면, 다음과 같이 디렉토리가 설정된다. (자세한 설명은 추후 추가)
용어 모음 [프레임워크(framework)] 개발자들의 개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일정한 틀과 규칙에 따라 개발하도록 미리 구조를 정의해 놓은 도구 [라이브러리(library)]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모아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기술 모음집 [Vue.js] 화면단 라이브러리이자 프레임워크 [돔(dom)] HTML 문서에 들어가는 요소의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트리 HTML 문서에 들어가는 요소(태그, 클래스, 속성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트리 [돔 리스터(DOM Listener)] 돔의 변경 내역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특정 로직을 수행하는 장치 [뷰(View)] 사용자에게 보이는 화면 [데이터 바인딩(Data Binding)] 뷰(view)에 표시되는 내용과 모델의 데이터를 동기화 [모델(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