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관련

(68)
HTTP/웹서버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어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이라 하며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에서 통신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프로그램이다. HTT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해, 통신 전송 중 파괴되거나, 중복, 왜곡되는 것을 막아준다. 웹 서버는 HTTP 프로토콜로 의사소통 하기 때문에 보통 HTTP 서버라고 불린다. 이 웹 서버는 인터넷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HTTP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때문에 웹 서버는 웹 리소스를 관리하고 제공한다. 웹 리소스는 웹 콘텐츠의 원천이다. 즉,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된 데이터를 HTTP 응답으로 돌려준다.
vue.js webpack 설치 webstorm으로 vue를 사용할 일이 생겼다. npm install -g vue-cli vue init webpack my-project cd my-project npm install npm run dev 참고로 vue init webpack my-project를 입력하면 설정화면이 뜨는데, 나는 vue-router만 설치하고 다른 것들은 N을 했다. (잘 모르기 때문ㅎ) 설치가 다 잘 끝나면, 다음과 같이 디렉토리가 설정된다. (자세한 설명은 추후 추가)
용어 모음 [프레임워크(framework)] 개발자들의 개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일정한 틀과 규칙에 따라 개발하도록 미리 구조를 정의해 놓은 도구 [라이브러리(library)]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모아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기술 모음집 [Vue.js] 화면단 라이브러리이자 프레임워크 [돔(dom)] HTML 문서에 들어가는 요소의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트리 HTML 문서에 들어가는 요소(태그, 클래스, 속성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트리 [돔 리스터(DOM Listener)] 돔의 변경 내역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특정 로직을 수행하는 장치 [뷰(View)] 사용자에게 보이는 화면 [데이터 바인딩(Data Binding)] 뷰(view)에 표시되는 내용과 모델의 데이터를 동기화 [모델(Mo..
[AWS&Docker 다뤄보기] 1. AWS와 Docker devOps란? devOps는 Development와 Operations의 합성어로, 2008년 애자일 컨퍼런스에서 "애자일 인프라스트럭쳐"에 대해 논의하며 처음으로 사용된 단어이다. 개발과 운영이 상호의존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말로, 개발과 운영 사이의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또한, 소통, 협업, 통합 및 자동화를 강조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 jira, confluence, bitbucket, jenkins, cloud server, docker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devOps의 등장으로 개발주기는 확연히 짧아졌다.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속도 배포까지의 빠른 작업속도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처함 빠른 배포 새로운 릴리즈와 버그 픽스를 빠르게 배포하며, 그로 인해 ..
[CLion] MinGW 한글 깨짐 CLion을 윈도우에서 사용하니 한글이 깨져서 출력되었다. 일단은 캐릭터 셋(character set)을 euc-kr 이나 CP949로 바꿔줘야겠다고 생각했다. 1. CMakeLists.txt 변경 CLion의 CMakeLists.txt 에 set(CMAKE_CXX_FLAGS "-fexec-charset=CP949") 를 추가했다. 하지만,,,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한글깨짐,,, 2. 윈도우 지역 옵션 변경 좀 더 구글링을 해보니 윈도우 지역에서 옵션 변경을 해주면 된다고 나와있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88490/how-to-use-unicode-characters-in-windows-command-line/15858812#15858812 How to use..
[CleanCode] 10. 클래스 로버트 C. 마틴의 클린코드 10장을 읽고 정리한 내용이다. 클래스 체계 클래스를 정의하는 표준 자바 관례에 따르면, 가장 먼저 변수 목록이 나온다. 정적 공개(static public) 상수가 있다면 맨 처음, 그 다음으로 정적 비공걔(private) 변수, 이어서 ㅇ비공개 인스턴수 변수가 나온다. 공개 변수가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다. 변수와 유틸리티 함수는 가능한 공개하지 않는 편이 낫지만 반드시 숨겨야하는 법칙도 없다. 클래스는 작아야 한다 클래스를 설계할 때도, 함수와 마찬가지로, '작게' 가 기본 규칙이다. 함수는 물리적인 행 수로 크기를 측정하지만, 클래스는 다른 척도를 사용한다. 클래스가 맡은 책임을 센다. * 단일 책임 원칙 클래스나 모듈을 변경할 이유가 하나, 단 하나 뿐이라는 원칙이다..
[CleanCode] 9. 단위 테스트 로버트 C. 마틴의 클린코드 9장을 읽고 정리한 내용이다. TDD 법칙 세 가지 1. 실패하는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때까지 실제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다. 2. 컴파일은 실패하지 않으면서 실행이 실패하는 정도로만 단위 테스트를 작성한다. 3. 현재 실패하는 테스트를 통과할 정도로만 실제 코드를 작성한다. 깨끗한 테스트 코드 유지하기 테스트 코드는 실제 코드 못지 않게 중요하다. 그 이유는, 테스트 코드가 지저분할수록 변경하기 어려워지며, 실제코드를 짜는 시간보다 테스트 케이스를 추가하는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이다. 결국, 실패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점점 더 통과시키기 어려워져, 테스트 코드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부담이 되버린다. 때문에, 테스트 코드는 사고와 설계와 주의가 필요하다. ∴ 실제코드 못지 않게 깨..
github 레포지토리로 git push 시 오류 - Updates were rejected because the remote contains... git push 하는 도중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났다. 검색 결과, 이와 같은 현상은 github에서 레파지토리를 생성할 때, README.md 파일을 생성했기 때문. 1. 첫번째 해결방법 / git pull 해결 방법은 git pull 명령어로 원격 레파지토리를 내 로컬로 fetch한 다음 merge 하면 된다고 한다. git pull origin master 하지만 두번째 오류가 나버렸다. 2. 두번째 해결방법 / --allow-unrelated-histories 에러 내용은 보는 그대로, commit 히스토리가 서로 연관성이 없어 merge가 거절된 것이다. git pull origin master(or branch name) --allow-unrelated-histories 해당하는 브랜치명을 넣..